사천의 도예가들
사천시의 도자기를 말하면 위선
전국 200여 곳의 가마터를 돌며 질그릇의 흙과 유약성분을 분석하는 등 각고(刻苦) 끝에 옛 선인들이 사용한 흙의 종류를 알아냈고 감나무· 느릅나무 등에서 유약을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다.
그는 고려와 이조의 청자와 백자의 신비에 매료되어 한 평생을 도예 재현을 위하여 몸을 아끼지 않고 답사와 연구 끝에 우리 선조들이 사용하던 소담한 질그릇 사발과 분청백자를 재현시켜 일반인들에게 선보이게 되는 전통 도자기를 1973년 부산직할시 문화제에서 이도차완(井戶茶碗)으로 특선을 받게 되고, 1974년 국전에 입선하는 등 전통 도예를 인정받게 되어 1975년에도 한국국민전에서 진사차완(辰砂茶碗)이 특선을 받게 되기도 했다.
1970년, 차(茶)를 부으면 찻잔 안에 반점(班點) 같은 꽃이 피는 비취색 분청사발 재현에 성공했을 때도 또 순식물성 유약에 의한 노란색 사발(우리나라 박물관에는 없고 일본에 단 1점이 국보로 지정되어 있음)을 재현해 냈을 때도 신문과 잡지에 1단기사로 보도되었을 뿐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보배는 드러나지 않는다고 하여서일까! 그의 고독한 작업은 국내에서 빛을 보지 못했으나 일본의 도예전문가와 차인(茶人)들에 의해 빛을 보았고 극찬을 받았다.
1975년 이후 그는 일본에서 2회의 개인전과 수 차례의 초대전을 가져 일본인들을 매료시켰고, 197 2회토오교오 긴자 마쓰사께야(東京銀座松城)에서 첫 초대전 때는 일본 천황의 아우이며 도예전문가인 다까마쓰노미야(高松宮)의 극찬을 받았고 1977년에시켰고미우리신문(讀賣新聞) 주최로 큐우수(九州) 외 9개 도시 순회전을 가지기도 했다.
그는 “조선 서민대중이 쓰던 사발을 일본인들은 흠모하는 찻잔(慕碗)이라 하여 가보(家寶)처럼 소중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우리 국민들은 밥그릇 정도로 알고 있지만 그들은 제가 만든 전승 사발 앞에서 무릎을 꿇고 가락지를 뺀 두손으로 들어올려 보배처럼 감상하더군요. 외국에서도 이처럼 귀중하게 여기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고유의 질그릇, 조상의 얼과 생활의 멋이 깃든 전통자기를 우리 국민에게도 그 귀중함을 알려주고 싶어 국내전을 열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곳곳에서 채집한 8가지 흙(胎土)를 배합, 반죽하여 물레 위에 얹어 놓고 발로 물레를 돌려 그릇형태로 만들어 30시간 말리고 그 뒤 가마 속에 넣고 7시간 내지 8시간 동안 500℃의 열을 가하여 불을 끈 다음 해열한 후 나만의 비법인 22가지 순식물성 유약을 발라 빛깔을 내고, 이것을 다시 가마에 넣어 1200℃의 열을 가하면 신비스러운 그릇이 나온다”고 말했다.
그는 도자기 애호가들의 취향에 맞춰 고려와 조선자기의 형태와 기법을 전승하면서 민화(民畵)등의 기법을 새롭게 가미하고 문양을 도입하여 전통미와 현대 감각을 조화시킨 작품도 만들고 있다. 그러나
그가 일본에서 첫 초대전을 할 때 인사말을 들어보면 “촌부(村婦)처럼 질박순후(質朴淳厚)한 이조 도자기의 자태에서는 스스럼없이 안기고 싶은 충동을 주는 어머님의 품과 같은 친숙감(親熟感)이 물씬 풍깁니다. 이게 나를 도자기에 매료시킨 연유(緣由)요, 나로 하여금 심산유곡(深山幽谷)을 헤매게 했고 흙과 물레와 가마를 벗 삼게한 기인(起因)입니다. <중략> 이런 실패의 연속이 나를 몇 번이나 허탈감에 빠지게 했습니다.” 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도공인 조부(祖父) 이조도공의 마지막 후예의 피가 나의 몸 안에서 끓고 있는 탓일까요? 한 인간으로서, 아니 가장(家長)으로서 처자식을 멀리 해온데에 대한 자책감보다도, 뜻대로의 작품을 탄생시키지 못하고 숱한 성상(星霜)을 허송했습니다. 고민으로 나는 마음을 할퀴어 왔습니다. <중략> 옛날 우리 조상들이 일본에 건너 와 도예의 꽃을 피운 일본 땅에 와서, 보잘 것 없는 이 후예가 작품을 소개하게 된 것을 더 없이 기쁘게 여깁니다.”라고 그의 심정을 술회하고 있는데 장인의 심정이 더욱 안타깝기만 할 뿐이다.
일본인들은
221번의 실험을 거쳐 1979년에 구워냈는데 일본에 단 한 점 있는 일본의 국보와 같은 색깔이다. “청자의 태토에 나무재에서 발견한 유약으로 장작가마에서 구워 냈지요”하고 그는 말한다.
노란색 찻잔과 함께 재현해 낸 또 하나의 개가는 연회(練廻) 자기다. 이것은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태토를 손으로 빚어 올려 성형하여 빚어낸 자기를 태토의 성질과 유약의 영향에 따라 각기 다른 빛깔을 내는데 「오랜 경험과 영감에 의해 재현할 수 있었다」고 신씨는 말하고 있다.
그가 전통자기에 일생을 바치겠다고 결심한 것은 그이 나이 18세 때 시인
그는 고려 중엽에서 조선왕조 말엽까지 700여 년 사이에 있었던 옛 도요지를 찾아 파편을 수집, 그것을 분석하여 태토의 원산지를 찾아내고 조상들이 쓰던 유약을 연구하고 가마의 구조를 재현하는 등 임진왜란 이전의 신비를 캐는데 소요된 보금자리 문경 관음 조령산 속의 조령요는 평생동안 청춘을 불사른 애원(愛怨)의 땅이며, 감격의 땅으로 사랑도 미움도, 집념으로 도자기를 재현하던 곳이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1976년 여름 수해를 당하여 11월에 양산 통도사 옆에 있는 현재의 도요지로 옮기고 작품 활동을 하고 있으며 팔기 위한 제품생산에 유혹당하지 않고 오로지 한국 전통자기의 재현에만 힘쓰면서 「한 점이라도 뛰어난 문화재를 남겨 세계에 우리 자기의 우수성을 알리고 싶다」는 것이
그는 고향에서 수 차례 초대전을 문화원에서 개최하고 그가 기증한 소중한 작품들이 사천문화원의 “향토사료관”에 전시되어 있다.
다음은 사천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도예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활동 중에 있는 도예가로는 와룡도예원의 송선상(宋善常), 청산요의
고리(古里) 송선상(宋善常)은
그는 1985년 삼천포시청 청사 준공기념 삼천포시장 초대전을 시작으로 86년 서울 롯데호텔 사파이어룸 개인전, 86년 부산일보 도예작가 10인 초대전, 87년 진주가야화랑 개인전, 89년 마산 청운미술관 개인전을 비롯하여 86년 KBS TV 뉴스파노라마 작가 소개 프로 방영으로 격찬을 받았다.
1988년 와룡도예원 회원이 주축이 된 도자기 연수 모임인 “한솔회”가 창립되어
현재 그는 남양동에서 와룡요를 운영하면서 2001년 3월에는 시민문화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와심(瓦心) 이계안(李桂安)은 1947년 경남 삼천포시 송포동 중촌에서 이조도공의 후예
할아버지
그는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유업을 이어나가기 위하여 남양도기를 거쳐 일본 유전(有田), 일본 요업개발에서 현대 도예를 다년간 연구하고 귀국하여 30여년동안 향림(香林) 도예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와심(瓦心)은 고 봉계(鳳溪)
그는 대한민국 미술대전 2회 입선, KBS전 2회 입선, 동아대전 2회 입선, 서울신문 제5회 현대도예전 특선, 경남신문 공모전 전통도예부문 특선, 민예전 동상, 장려상, 기관장상과 한국미술대전 금상을 수상했고 마산 KBS 방송국 “문화가 산책”에 마산 MBC 방송 “문화가 산책”에 초대되어 전통도예의 맥을 선보였으며 2000년에는 향림도예연구소 개원 10주년 기념 제6회 개인전을 부산광역시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하기도 했다.
와심은 한국의 도예계를 이끌던 고
고천 도예의
고천 도예의 특색은 황토제품을 개발하는데 주력하여 황토의 작용효과를 등대시키는 메카니즘이 형성되어 열에너지를 복사 방출하는 능력이 다른 물체보다 뛰어남을 착안, 전통기법을 살리면서 실생활에 필요한 생활식기, 물컵, 다기류 등 40여종의 원적외선 바이오 황토 김치항아리, 쌀 항아리, 물 항아리 등 30여종과 관상용 도자기, 공기정화용기, 전자파 흡수용 캐릭터형 인형 등 여러 종류를 개발 생산하고 있다.
요지는 사천시 사천읍 두량리 374-5번지에 있고 현재 케이씨씨 고천 도예를 운영하고 있다. (Tel. 854-8343, 011-889-8343)
도예가 단산(丹山)
단산은 1984년, 85년 부산미술대전에 특선, 입선에 이어 1985년, 86년 부산 산업 디자인전 특별상, 입선을 거쳐 1990년에서 93년 경성공예가회에 출품하고, 1990년부터 98년까지 부산 도예가회 작품전에 꾸준히 출품하면서 1998년 단산
단산은 특히, 1999년에는 3년여 기간 동안 「곤남군 장흥고를 중심으로 분포한 고요지에 관한 소고」의 연구 논문집과 2000년 10월 조사연구집 「조선 막사발 옛터를 찾아서 : 곤남군 고요지에서 출토된 다완 도편 소고」라는 논문집을, 이어서 「곤남군 반용소 답사에 관한 소고」와 「곤남군 정호 태토류에 관한 소고」 등 사천지역 도요지와 정호차완의 발원지에 관한 연구를 계속하여 도자기 뿐만 아니라 우리 도자기사를 밝히는 학자로서의 면모를 지켜 나가고 있다.
단산
현재 단산은 부산 도예가회 회원으로 있으면서 사천시 곤명면 성방리 192번지 2에서 곤명요를 운영하고 있다. 전화는(055-852-8378, HP:016-586-8378)
백하(白下) 정충옥(鄭充鈺)은 사천에서 태어나서 효당 최범술과 한학자 육천 안봉언 선생의 문하에서 한학을 수학하고, 추전
백하는 1991년 한국미술대상전(국제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각종 전시회에 많은 작품을 출품하고 있으며 지난 2000년 12월에는 진주 경남문화예술회관 전시실에서 개인 도예전을 갖기도 했다.
경기도 문화재 위원
도예지는 사천시 곤양면 무고리 814번지에 있고, 전화는(055-852-4092 HP. 011-842-4092) 이다.
앞에서 막사발 원류를 설명하면서 언급하였듯이
그는 구룡요 주변을 한국 도자기의 큰 자랑인 “막사발의 고향”임을 입증하여 국가문화유적지로 지정받아 전시관을 건립하고 일본과 한국의 도자기 문화 교류와 뿌리찾기에 앞장서면서 사천 도자기의 우수성과 막사발의 원류임을 밝힐 것을 다짐하고 있다.
가야비파구룡요는 사천시 사남면 화전리 109-3번지에 있고 전화 055-854-4365이다
쫥 참 고 문 헌 쫥
○ 한국의 회화사 일지각 1980
○ 고고미술 제143, 144호
○ 세계미술전집. 계간미술.
○ 삼천포시지
○ 사천군지
○ 하동군지
○ 진주시사
○ 통영시지
○ 문경군지
○ 한국브리태니커(1999년)
○ 살아있는 신화(바위그림)
○ 한국미술의 기원
○ 서양회화사
○ 곤남군 정호 태토류에 관한 소고
○ 조선막사발 천년의 비밀, 한질아트간,
○ 아가노야끼 원류를 찾아서,
'美術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7] 김경렬real kim, 석양풍경夕暮風景 (1) | 2010.09.07 |
---|---|
[166] 한봉호韓奉浩, 장미 F4호 (0) | 2010.09.07 |
[163] 박방영朴芳永, 愛の世界 15호 (0) | 2010.09.07 |
[162] 우당宇堂 한명성韓明成, 李朝茶碗 (2010.7.10, 00002300) (0) | 2010.09.07 |
[161] 현암 최정간崔楨幹, 井戸茶碗 (2010.6.7, 0004800) (0) | 201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