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美術品

[138] 미도요 전원 구성회 作, 高麗青磁象嵌湯呑茶碗 美陶窯 田元 具誠會 作, 高麗靑磁象嵌湯呑茶碗 田元 具誠會 略 歷 · 江原道 鐵原塵 · 明知大學校 卒業,同大學院 陶磁技術學科卒 · 日本 水戶 京城百貨t店 展示 · 西獨 西伯林 展示 · 韓國 優秀商品展 出品 · 北九州市 陶磁器展 出品 · 美國 LA展示 · 東京(大九)橫洪(松板屋百貨店)展示 · 日本 小田急,三越,高島屋百貨店 展示 · 韓,日 造形藝術 交流展 招待作家 · 直言律宗 總本山西大寺大茶盛式 展示 · 日本 天滿屋百貨店 個展 · 全國 工藝品 競進大會 裝勵賞 受賞 · 韓,日 交流展(八戶) · 廣州陶藝協會展(LOTTE) · 傳統陶藝 特別展(橫洪) · 傳統 美術人協會 會員 · 廣州 陶藝協會 會長 歷任 · 東京 京王百貨店展 · 明知大學院 陶磁器 技術學科 茶碗講義 미도요 cafe.naver.com/midoyo htt.. 더보기
[137] 東国窯 赫山 方徹柱, 花瓶 (2010.2.24, 0011) 방철주 도예가 출생 1922년 (서울특별시) 수상 1997년 대한요업총협회 작품상 경력 2005.11 방철주 개인전 1998~2000 한중일 국제 전통도예 작가전 출품 1997~2000 이천 도자기 축제 특별전 출품 1993 한국전승공예 다카시마야전 출품 지구무늬 청자항아리 美박물관에 영구전시 (이천=연합뉴스) 김경태 기자 = 고려청자의 비색(翡色)에 가장 접근한 작가로 평가받고 있는 도예가 혁산(赫山) 방철주(方徹柱.85.동국요 대표) 선생의 작품이 미국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영구전시된다. 오는 28일 '제4회 경기도 세계도자비엔날레' 개막을 앞두고 있는 도예계에서는 이를 가수 비의 뉴욕 진출에 견주며 문화적 쾌거로 받아들이고 있다. 5일 이천 동국요(東國窯)에 따르면 지난해 2월 혁산 선생의 청자도록(.. 더보기
[136] 소정 한익환, 小汀 韓益煥 부부잔 (2010.2.17, 0003) 이미지 더보기 한익환 도예가 출생-사망 1921년 12월 26일 (함경북도 청진) - 2006년 9월 28일 학력 간도연길공업학교 수상 1986년 문화공보부주최 전승고예전 특별상 1983년 대한요업총협회 공로상 1982년 문화공보부주최 전승공예전 장려상 경력 한국고미술자기연구소 소장 1982 대한요업총협회 이사 도예가 한익환 翁 흙으로 진실 빚고 지혜 구워요 자연 스승삼아 반백년 ‘백자재현’ 유약·안료등 독특한 배합방식 터득 흙과 나 하나될때 작품 생명력 있어 평생 가마불 곁에서 무념무상 공부 도자기에 내 영혼 넣는다고 그 많은 세월 부셔 깼지만 흙의 참맛 알게 되면서 인간의 길 깨닫게 되었다 달아 달아 십오야(十五夜) 둥근 달아 조선의 달 항아리 조선의 대호 그 언저리를 흐르는 소박한 흐름의 수더분한 .. 더보기
[135] 楽山窯, 安南茶碗 (2010.2.6, 9061) 더보기
[134] 趙誠主 作, 萩焼茶碗 (2010.2.5, 0012) 더보기
[133] 趙誠主 作, 粉引徳利 (2010.2.1, 0041) 일본 작가 다고 기치로와 한국 도예가 조성주의 20년 우정 | 기사입력 2008-12-19 16:32 NHK PD 출신으로 영국에서 집필 활동 중인 작가 다고 기치로. 그가 쓴 책이 화제다. 한일 동시 출판된 「또 하나의 가족」은 한국인 도예가 조성주 그리고 그의 가족과의 20년간 추억이 아스라이 담겨 있다. 국적과 나이를 초월한 두 사람이 사람 그리고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고 기치로가 말하는 조성주 도자기에 일생을 바치는 그의 순수에 감동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저는 다고 기치로(52)라는 일본 사람입니다. 제가 조성주 선생님을 알게 된 건 지금으로부터 20년 전입니다. NHK에 입사해 신입 PD로 활동하던 시절이었어요. 남쪽 규슈 지방으로 발령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1983년 규슈 쪽과 .. 더보기
[132] 黄鍾九(1919~2003), 青磁象嵌雲鶴酒杯 (2010.1.30, 0016) 황종구(황종구) 1919 서울에서 출생 1939-1941 일본 소호요업학교 별과 수학 1947-1951 개성공립요업학교 요업과 교사 1947-1984 경기도 공예협회이사(상공부) 1959-1984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역임 1962-1965 국전 공예부 특선 1963-1965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강사 1966-1972 국전 추천작가 1967 한국기능경기대회출제 및 심사위원 1966 서울특별시 문화상 수상 1968-1973 상공미술전 추천작가 1971 중화민국 요업계 및 교육계 연구시찰 1970 광복 25주년 대통령포상 수상 1972-1973 마산도예기 시험소 기능감정위원, 보문편찬위원 1972 한국 현대도예전 초대출품 (서울대학 박물관) 1973 한국요업학회 분회장 1973-1983 국전초대작가 및.. 더보기
[131] 石峰 趙懋鎬, 高麗青磁茶碗 (2010.1.25, 0053) 석봉 조무호作 1971 전국 민속 공예품 경진 대회 특선 1972 전국 관광 민예품 경진 대회 특선 1974 전국 토산품 경진 대회 장려상 1974 대한 불교 미술 전람회 장려상 1976 일본 황도시 SOGO 백화점 개인전 개최 1977 일본 북구주시 제15주년기념 초대전시회개최 1977 일본 북구주시장 감사장 수상 1979 일본 동경 "SUNSHING60" 문화관 개인전 개최 1977~80 전국 토산품 경진 대회 특선 1980 대한 불교 미술 전람회 장려상 및 특선 1981 일본 아리따 석봉 도자기 전시관 설립 1981 일본 장기시 초대전 1981 일본 서일본 신문사 감사장 수상 1983 전국 민예품 경진 대회 우수상 수상 1984~86 올림픽 기념품 경진 대회 장려상, 특선 수상 1987 전국 공예품.. 더보기
[129] 麗器陶窯 峯岩 尹柄欒, 青磁雲鶴文花瓶 (2010.1.23, 0062) 여기도요 봉암 윤병란作 1990년 5월. 내노라는 도예가들도 재현시키기가 어렵다는 고려청기와 재현에 성공한 여기도요(麗器陶窯) 봉암 윤병란(峯岩 尹炳란) 선생을 만났다. 당시 독립기념관과 같은 민족의 얼이 흐르는 건축물에 청기와 시공을 하였으면하는 바램으로 서슴없이 윤선생의 작업실과 재현된 청기와를 확인하고자 방문했다. 청기와의 시공은 선조의 얼을 함께 담는 문화재적 가치는 물론, 벼락 재앙 등을 피해가고 가히 전설적인 지붕재로서 그 곱푸른 색갈과 견고함은 반 영구적이라느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였다. 당시 전 재산을 청기와 제작에 바쳤다는 윤선생은 정말 멋진 공예가고 또한 장인의 풍이 온 몸에 베여 있었다. 그런데 한나절을 윤선생과 이곳 저곳을 둘러 본 뒤 대청 마루에서 점심을 먹으면서 부터 사단이 일어났.. 더보기
[128] 水広窯 李貞夏, 粉引茶碗 (2010.1.23, 0083) 수광요 이정하作 더보기